MBTI 분석의 효용성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사람을 만난다. 내가 만나는 사람이 나에게 적대적 일지, 원하는 게 무엇인지
혹은 내가 어떤 액션을 취했을 때 어떤 반응을 예상할지는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상대방의 인간 유형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에 이에대해 대비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그래서 우리는 상대방을 나름의 경험이나 도구를 통해 빠르게 유형화를 시도한다.
이에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있는 검사도구는 mbti이다. mbti는 인간의 유형을
16가지로 나눠 각 유형을 분석한다.
유형화를 하는건 인간의 본능이다.
인간은 유형화를 통해 외부세계를 빠르고 쉽게 인식하여 뇌의 효율성을 향상했다.
그러나 일부 사람은 어떻게 사람이 16가지 성격으로 분류될 수 있냐고 하며 MBTI는 엉터리라고 하며, 신뢰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말조차 유형화라는 심각한 오류를 품고 있다.
거짓말을 습관처럼 하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 사람에게 너는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이야!라고 말을 했다고 가정해보면
" 내가 신뢰할 수 없다고? 세상에 얼마나 다양한 성격이 존재하는데 너는 세상을 신뢰할 수 있는 사람, 없는 사람으로 양분하는 어리석은 사람이야!"
라고 반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누군가에게 '착하다'라고 말을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착하지 않은 사람'의 범주에 들어가는 거고
추상적인 개념의 착함과 안착함으로 세상을 양분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는 걸까?
그건 절대 아니다.
이제 mbti로 돌아와 생각해보면
세상 사람을 16가지 유형으로 생각해서 유형화하는 건
평소 우리 머릿속에 들어있는 유형화에 비해 훨씬 정교하고 자세 하다는 걸 알 수 있다.
MBTI는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인식형으로 유형을 나눈다.
하지만 외향, 내향, 감각, 직관, 사고, 감정, 판단, 인식 등의 용어 자체가 가지고 있는 추상성 때문에
명확한 분류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외향적인 사람은 ~한 경향이 있다. 정도로 맞추는 것 자체만으로
사람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조금만 연습을 하면 상대방의 MBTI를 맞추는 게 상당히 쉽다는 걸 알게 된다.
일단, 외향형(E), 과 내향형(I) 은 상대가 휴식시간에 주로 무엇을 하는지를 알아보면 쉽다.
외향형인 사람은 주로 친구를 만나 수다를 떨거나, 전화통화, 아니면 공연을 보러 간다.
내향형인 사람은 혼자 목욕탕을 가거나, 책을 읽거나 집 침대에 누워있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외향형, 내향형이 사교성과 다름을 인식해야 한다.
외향형이지만 낯을 많이 가리는 사람이 있고 내향형이지만 낯을 가리지 않는 사람도 분명히 존재한다.
따라서 에너지를 얻는 휴식의 원천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감각형(S)과 직관형(N)은 상대가 평소에 많이 하는 말들로 분석을 해야 하는데
S는 현재의 말을 많이 하는 편이 있다. 그리고 어떤 문제가 벌어졌을 때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판단하는 경향이 있고
N은 미래지향적이며 상상, 아이디어를 많이 표출한다.
쉽게 생각해 카페에 갔을 때
"와~ 이 카페 이쁘다." 정도로 그치면 감각형, "와 카페 이쁘네 근데 벤치를 밖에 배치하고 노는 공간에 분수를 배치하면 여름에도 인기 많겠다~"까지 확장되면 직관형이다.
다음으로 사고형(T), 감정형(F)은 사실 여자는 F고 남자는 T라고 하면 80% 맞다.;;;
마지막 판단형(J)과 인식형(P)은
일을 할 때 프로세스를 가지고 처리하면 판단형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하다가 융통성 있게 중간중간 계획을 변경하면 인식형이다.
주로 판단형은 주변정리를 잘하는 편이고 인식형은 어지러운 편이 많으니 이렇게 판단해도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물론 MBTI로 상대방을 정확히 파악은 할 수 없다.
하지만 MBTI와 상대방의 열등감, 컴플랙스, 세상에 대한 관점 등을 취합해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조금 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밍하는 법, 회원가입 등 완벽 정리 (0) | 2023.02.19 |
---|---|
와콤 입문용 가성비 타블렛 사용 솔직 리뷰(CTH-480) (0) | 2023.01.29 |
Worrying about Bach's practice_2, Evgeny Korolioff (0) | 2022.09.28 |
삶의 목표, 방향잡기 (0) | 2022.01.09 |
인풋과 아웃풋의 밸런스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