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

학습 부진이 일어나는 이유에 관하여..

반응형

학습 부진이 일어나는 이유에 관하여..

 

학습 부진이 왜 발생하는가?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첫 번째 교육과정 자체가 너무 어렵습니다. 
두 번째 저학년 학급 당 인원수가 너무 많습니다.

더 적은 내용을 더 긴 시간 동안
선생님과 적은 수의 아이들이 함께 공부한다면
아이들이 지금처럼 학습부진에 빠지지 않을 겁니다.

세 번째 문제는.... 아니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요,
우리나라 교육은 선발의 기능을 강하게 해야하기 때문에
서열화 시켜야 합니다.

모든 학생들이 잘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수능이 조금 쉽게 나와서 학생들 성적이 대체로 높아지면 난리나잖아요. 다음 해에는 어렵게 내서 변별력을 키우죠.

 

수능이 쉽게 나와서가 아니라 학생들이 정말 다 열심히 공부해서 다 잘하게 되면 어떻게 할까요? 교육과정을 더 어렵게 만들어버립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학습 부진, 낙오자가 생기기 시작해서 고 3때까지 가는 그런 구조인 거죠.

세 번째 문제는 대학을 나오든 나오지 않든, 서울대를 나오든 지방대를 나오든 생존에 문제가 없게 만들어야 합니다. 사회, 경제 영역에서 혁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쉬운 길은 아니나 우리가 지향하고 이루어야 할 것입니다.

 

 

앞에 쓴 글에 이어집니다. 
시골의 작은 학교에서 학습부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아이들이 학습 부진을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개인 지능의 부족일 수 있습니다. 
2) 학습법을 제대로 익히지 않아서 일 수 있습니다. 
3) 선생님이 제대로 가르치지 않아서 일 수 있습니다. 
4) 학급 인원 수가 너무 많아서 선생님이 한 명 한 명 제대로 지도하기 어려워서 일 수 있습니다. 
5) 잡무가 너무 많아서 선생님이 수업연구 및 수업에 전념할 시간이 부족해서 일 수 있습니다. 
6) 교육과정이 너무 어려워서 일 수 있습니다. 

1)은 어쩔 수 없지만
2)는 학습법을 제대로 가르치면 됩니다. 
3)의 원인이 4) 학급 인수가 많아서 일 수도, 5)잡무가 많아서 일 수도 있으며 교사의 태만과 무능력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6) 너무 어려운 교육과정이 미치는 영향은 엄청납니다. 

문제의 원인은 이것만 있는 게 아닙니다. 

7) 학생의 가정의 문제
8) 학생과 학교가 속한 지역사회의 문제
9) 서열화 기능만 하는 우리 교육의 문제
10) 정의롭지 않은 사회, 먹고 살기 힘든 사회의 문제


소규모 학교는 학습 부진을 만드는 수많은 중 4) 학급 인원 수의 문제만 해결했기 때문입니다. 도리어 5)로 인해 과중한 업무가 3)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도시학교 보다 높습니다. 뿐만 아니라 조부모 가정이거나 다문화 가정, 부모의 의식 수준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들의 핵심은 바로 10) 정의롭지 않고 먹고 살기 힘든 사회의 문제라고 봅니다.

하지만 첫 번째, 두 번째는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안 하고 있었던 거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