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

도덕교육의 실효성

반응형

도덕교육의 싱효성에 의문을 재기하다니 재정신인가?

라고 생각할수도 있겠다.

"바른 인성위에 쌓지않은 지식은 없으니만 못하다"란 반문이 나온다. 오케이 모두인정한다

하지만 하고싶은 말은 그게아니니 침착하게 글을 읽어보길 바란다.

학생들에게 도덕성은 반드시 길러줘야 할 과제다.

하지만 도덕 교육의 실효성에대한 의문은 끝없이 재기되고있다.

특히 그것이 현장에서 짓접 도둑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임에 그 심각성을 더 숙고 해볼 필요가 커지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과연 교과목으로 학생들이 도덕을 배워야하는가다. 도덕교과의 목차를 보면 주관적이기 이루말할 수 없다.
예를들어

공정은 무엇인가요? 라는 단원이있다. 이글을 읽는 당신들은 공정이 무엇인지 정의 할 수있는가?

모두에게 기회적으로 평등한것? 그렇다면 장애인을 도태되게 하는게 공정한가?

모든사람에게 결과적으로 공정한것? 그렇다면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만으로 일반인들에게 양보를 강제하는 정책은 공정한가?

적당하뉴정도에서 평등의 기회를 주는것? 그 선은 무엇이고 누가어떻게 정하는가?

너무나 많은 철학적 의문과 과제가 남는다.


따라서

도덕성을 길러주기위한방법은 가정,학교,사회속에서 혹은 다른과목속에서 다른 지식과 결합시켜 범교과의 형태로 가르쳐야한다.

이를통해 개인의 심성을 발달시키고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을 길러줘야지 아직어린 학생들에게 특정 가치판단을 주입해서는 안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