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

어린이 행복지수가 낮은 우리나라..

반응형

며칠 전 어린이날을 맞으면서

각 언론마다 어린이 행복지수가 OECD 중 꼴찌라는 내용이 꽤 나왔던 걸로 압니다.

어린이날 100주년…인권위원장 "아동 삶의질 우려할 수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164283?sid=102 등등으로요

자료의 출처는 <2021년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행복지수>인데요

이 자료와 관련된 다른 기사를 보던 중 생각지도 못 한 문구를 보게 되었습니다.

“한국 아동학대, 세계에 없는 굉장히 놀랍고 특이한 경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518716?sid=102

지난해 12월 발표된 한국의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는 OECD 22개국 가운데 최하위였다. 행복지수를 구성하는 6개 항목 중 건강, 삶의 만족, 어울림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고 소속감, 외로움은 끝에서 두 번째였다.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5위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행복지수 6개 중 5개가 최하위권에 꼬라박은 와중에 학교생활 만족도는 위에서 5위라니?????

그래서 이 조사에 대해 흥미가 생겼습니다.

요즘은 자료 찾기가 참 쉬운 시대죠 구글에서 검색을 해보니

원본을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조사-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란?

아동 및 청소년 행복도 국제비교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유니세프 모델 기반의 행복지수 산출 자료를 수집하고자 한국방정환재단의 지원 하에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가 2009년부터 매년 시행하는 연차적 조사이다. 자료는 전국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과 중·고등학교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되며, 2016년부터 중·고등학생 자료에는 친구간 연결망 자료가 포함되었다.

가입을 하고 자료를 다운 받아 봅니다.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자료로 나눠져 있어 초등학생만 다운 받았습니다.

먼저 2021년도 자료를 보니

제3장 OECD 행복지수 2. 학교생활에서

학교생활을 ‘매우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7.9%로 기사의 내용처럼 5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중고등학교는 2021년도만 다운받아 봤는데 학교 만족도는 똑같이 5위입니다.)

바로 다음 쪽에는 3. 개인 행복_삶의 만족이 있는데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가? (‘만족한다’ 와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66.5%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22위에 있었습니다.

내친김에 2020년도부터 2016년도 자료까지 모두 다운 받아서 학교생활 만족도를 찾아봤습니다.

2020년도는 코로나19 탓인지 자료가 없었구요,

학교생활 만족도는 세계에서 2019년 2위, 2018년 1위, 2017년 1위, 2016년 3위였습니다.

반면 삶의 만족도는 2019년부터 2016년도 모두 최하위 꼴등이었습니다

다른 행복지수도 마찬가지로 최하위권에 있었구요

이렇게 자료를 찾아보니 교사로서 뭔가 속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학교가 이렇게 잘하는데, 학생들에게 세계에서 손에 꼽히는 만족도를 꾸준히 제공해 왔는데

지금까지 이런 내용은 왜 기사 한 줄 없었을까.. 뭔가 억울하더라구요

그리고 어린이의 삶을 망치는 진짜 주범은 과연 누구인가?

누가 봐도 학교는 전혀 문제가 없는데 왜 그동안 학교가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느꼈어야 할까 이런 생각도 들었구요

또 자료에서 재미있는 것도 발견했는데

한 때 한국 공교육을 비난할 때 대안으로 부각된 핀란드의 학교생활 만족도였습니다.

22개국 중 2021년 21위, 2019년 21위, 2018년 22위, 2017년 22위, 2016년 22위더라구요

반면 삶의 만족도는 모두 상위권이었습니다.

2021년과 2019년은 핀란드 자료가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삶의 만족도가 2018년 2위, 2017년 6위, 2016년 6위였습니다.

한때 한국 공교육을 비난하면서 핀란드 공교육 띄우기를 할 때

핀란드는 성적도 좋고 아이들도 행복한데, 한국은 성적만 좋고 아이들은 불행하다

이런 레퍼토리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핀란드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최하위라는 건 왜 아무도 말을 안 했을까요

한국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최상위권이라는 건 왜 아무도 언급을 안 했을까요

뭔가 더 억울해 졌습니다

실제로는, 수년간 축적 된 한국 아동·청소년 행복지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초등학교는 학생들에게 세계 최정상급 행복 만족도를 꾸준히 제공해온 학교라는 결론이 나오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