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미움 받을 용기, 잘못을 인정하는 법
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패배가 아니다
청년 : 면전에서 인신공격을 받는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저 참기만 합니까?
철학자 : 아니. ‘참는다’는 발상은 자네가 아직 권력투쟁에 사로잡혀 있다는 증거일세. 상대가 싸움을 걸어오면, 그리고 그것이 권력투명이라는 것을 알아차렸다면 서둘러 싸움에서 물러나게. 상대의 도발에 넘어가지 말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뿐이네.
청년 : 하지만 도발에 넘어가지 않는 것이 그렇게 간단할까요? 대체 분노를 어떻게 제어하라는 겁니까?
철학자 : 분노를 제어하는 것이 ‘참는다’는 것을 뜻하나? 그러지 말고 분노라는 감정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을 배우게. 분노란 어차피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며 도구니까.
청년 : 음, 어렵군요.
철학자 :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분노란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태고 아울러 화내지 않는 커뮤니케이션도 가능하다는 사실이네. 우리는 분노를 표출하지 않고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나를 받아들이게 할 수 있네. 경험을 통해 그것을 알게 되면 자연히 분노의 감정도 나오지 않을 걸세.
청년 : 하지만 분명 오해임을 알면서도 그것을 빌미로 시비를 걸어오거나 모욕적인 말을 하는데도 화를 내서는 안 됩니까?
철학자 :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 것 같군. 화를 내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분노라는 도구에 의지할 필요가 없다’는 걸세. 화를 잘 내는 사람은 참을성이 없어서가 아니라 분노 이외의 유용한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걸세. 그래서 “나도 모르게 욕해서”라는 말이 나오는 거고. 분노를 매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거지.
청년 : 으음
철학자 : 애초에 주장의 타당성은 승패와 관계가 없어. 자네가 옳다고 믿는다면 다른 사람의 의견이 어떻든 간에 이야기는 거기서 마무리되어야 하네. 그런데 많은 사람이 권력투쟁에 돌입해서 다른 사람을 굴복시키려고 하지. 그러니까 ‘나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을 곧 ‘패배를 인정하는 것’으로 여기게 되는 거라네.
청년 : 맞아요. 그런 측면이 있죠.
철학자 : 지고 싶지 않다는 일념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길을 선택하게 되지. 잘못을 인정하는 것, 사과하는 것, 권력투쟁에서 물러나는 것, 이런 것들이 전부 패배는 아니야. 우월성 추구란 타인과 경쟁하는 것과는 상관없네.
청년 : 승패에 연연하면 바른 선택을 할 수 없다는 뜻인가요?
철학자 : 그래 흐릿한 안경을 쓰면 눈앞의 승패밖에 보지 못하고 길을 잘못 들게 되지. 경쟁이나 승패의 안경을 벗어야 비로소 자신을 바로 보게 되고, 자신을 바꿀 수 있는 걸세.
- 미움받을 용기 중에서 -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시 독서모임 루바토, 6월 25일 첫번째 정모 후기 (0) | 2020.06.26 |
---|---|
세종시 독서모임 '루바토' 회원모집(선착순 2명) (0) | 2020.06.24 |
행복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 행복이란?//행복의 기원 (0) | 2020.05.29 |
클루지를 극복하는 방법 (0) | 2020.05.17 |
자청 추천 도서 클루지 리뷰(성공의 비밀) (0) | 2020.05.15 |